
여러 카드사에 흩어져 있던 카드포인트를 앱 하나로 한꺼번에 조회하고 현금으로 전환해 원하는 본인 명의 계좌로 입금할 수 있는 서비스가 등장했다.
5일 금융위원회는 여신금융협회, 카드업권과 함께 카드 포인트 사용 활성화를 위한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및 계좌이체 서비스 등을 도입한다고 밝혔다. '여신금융협회 포인트 통합조회·계좌이체 애플리케이션(앱)' 또는 금융결제원 '어카운트인포' 앱 하나로 모든 카드사의 포인트를 통합조회해 지정 계좌로 이체·출금할 수 있다.
금융위는 소비자가 하나의 앱만 설치해 본인인증절차를 거친 후 미사용 포인트를 간편하게 계좌입금 받을 수 있어 거래 편의성이 증가하고, 자투리 포인트를 전부 현금화해 소비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.
현금화는 1포인트(1원)부터 가능하다. 대상 카드사는 8개 전업카드사(신한·삼성,·현대·롯데·우리·KB국민·하나·비씨)와 3개 겸영카드사(농협·씨티·우체국)다. 카드포인트 통합조회는 내·외국인 모두 가능하며, 어카운트인포는 내국인만 이용할 수 있다.
통합조회 화면에서 각자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의 잔여 금액, 소멸예정 금액, 소멸예정 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포인트를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도 있다. 계좌입금이 가능한 포인트는 카드사별 대표 포인트다. 각 카드사의 주력 포인트로 특정 제휴가맹점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회원 단위로 적립되는 포인트로, 카드사 포인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. 신한 '마이신한포인트', 롯데 'L.POINT', 비씨 'TOP포인트'등으로 카드사마다 명칭은 다르다. 그 외 특정 가맹점에서만 소비 목적으로 쓸 수 있는 제휴 포인트는 통합 이체·출금 대상에서 제외된다
비슷한 상황이었던 카드 자동납부 변경 및 해지 통합 서비스 도입된다. 어카운트인포 모바일 앱과 페이인포 홈페이지에서 통신요금 등 카드 자동이체 납부 수단을 다른 카드로 변경하거나 해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. 본래 카드 자동납부를 다른 카드로 변경하기 위해선 통신사 등 요금청구기관별로 기존 자동이체(납부)를 일일이 해지하고 새로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. 5일 현재 통신요금만 변경·해지 가능하나, 올해 말까지 전기요금·스쿨뱅킹·4대보험·관리비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.
금융위 한 관계자는 "서비스 및 시스템 등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신협회·금결원·카드업권이 긴밀히 협업해 개선하겠다"며, “카드 포인트를 적극 현금화하고 불필요한 자동납부 내역을 정리해 스스로의 재산에 대한 권리를 적극 행사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”고 말했다.